수 의 방 역 대 학 원 (주관연구책임자 이완규) |
|||
---|---|---|---|
총연구개발비(천원) | |||
정부출연금 | 기업부담금 | 지자체 | 주관대학 |
8,000,000 | 994,000 | 800,000 | 880,000 |
제 1핵심과제 (충북대 이완규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4,000,000 |
기업부담금 314,000 |
대응자금 800,000 |
현장중심 문제해결형 단·방역 기법 개발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|
제1-1세부(충북대 이완규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1,810,0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600,000 |
돼지 세균성 소화기계 감염병 특성조사 및 진단법 개발 |
제1-2세부(충북대 현상환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1,289,5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200,000 |
돼지 생식기계 감염병 관리 및 ICT융합 동물감염병 관리시스템 개발 |
제1-1협동((주)중앙백신 강신영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300,000 |
기업부담금 314,000 |
대응자금 - |
가금 아데노 바이러스 다가백신 개발 및 백신프로그램 작성 |
제1-2협동(서울대 김단일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600,0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- |
산업동물방역교육 프로그램 협동운영 및 젖소의 소모성 감염병의 청정화 방법 연구 |
제 2핵심과제 (전북대 장형관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2,000,0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280,000 |
국가재난형 동물 질병 대응 방제 유효성 실증 및 전문인력 양성 |
제2-1세부(전북대 장형관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2,000,0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280,000 |
가금 주요감염병 특성조사 및 진단법개발 |
제2-2세부(전북대 조호성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600,0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- |
국가재난형 가축 질병 모니터링 진단법 개선 및 차단방역 관리 시스템 개발 |
제2-3세부(전북대 유명조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600,0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- |
국가재난형 진드기 매개질병 감염 방제를 위한 진드기 백신 항원 개발 |
제 3핵심과제 (건국대 류영수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2,000,000 |
기업부담금 680,000 |
대응자금 600,000 |
동물감염병 병원체 진단 및 분자역학 전문인력 양성 |
제3-1세부(건국대 류영수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800,000 |
기업부담금 680,000 |
대응자금 300,000 |
돼지 바이러스성 병원체 진단 및 분자역학 분석법 개발 (이중복, 최양규) |
제3-2세부(건국대 이상원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600,0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104,000 |
가금 호흡기 병원체 진단 및 분자역학 분석법 개발 (이상원, 박승용) |
제3-3세부(건국대 최인수) | ||
---|---|---|
정부출연금 600,000 |
기업부담금 - |
대응자금 196,000 |
인수공통전염병의 분자생물학적 진단 및 역학 연구 (최인수, 강영선) |
분야 | 단계별 목표 | |||
---|---|---|---|---|
1단계 | 2단계 | 최종목표 | ||
제 1 핵 심 충 북 대 |
인력양성 |
|
|
동물 감염병 질병 진단 특성화 프로그램 및 ICT 방역 프로그램 교육 시스템 구축 |
기술개발 |
|
|
주요 동물감염병 방제 연구를 통한 방역정책과 현장방역의 효율적 연계 | |
제 2 핵 심 전 북 대 |
인력양성 |
|
|
동물 감염병 방제를 위한 실무 전문가 양성 및 현장 방제인력의 지속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 |
기술개발 |
|
|
국가재난형 동물 질병 대응 방제 유효성 실증 및 전문인력 양성 | |
제 3 핵 심 건 국 대 |
인력양성 |
|
|
국내 주요 동물 감염병의 신속 분자 진단법 및 분자역학 분석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실무 전문가 양성 |
기술개발 |
|
|
동물감염병 및 인수공통전염병 원인체의 분자진단 및 분자역학 분석법 개발 | |
총 괄 |
인력양성 |
|
|
현장문제 해결형 방역사 및 수의사 양성 프로그램 구축 |
기술개발 |
|
|
동물감염병 중심의 질병진단, 방역, 역학 최신기법 개발 |